운영기간 : 연중 1기수 운영
운영규모 : 8개 스튜디오 내외
스튜디오 구성 : 스튜디오별 지도교수 1명, 도우미 1~2명, 주민 10명 내외
주민 | 지도교수 | 도우미 |
---|---|---|
역할 : 도시재생을 이끌어갈 리더로서 아이디어를 스스로 제안 구성 : 대상지 주민, 공무원, 도시재생센터 관계자 등 10여명 |
역할 : 대상지 문제점을 공유하고 해결 가능한 방향 제시 구성 : 도시재생분야 관련 교수, 건축사 등 전문가로 구성 |
역할 : 원활한 스튜디오 운영을 위한 계획안 정리 · 디자인화 구성 : 도시 · 건축사 · 조경 · 주거 등 관련 전공 대학(원)생 및 실무자 등 |
스튜디오 운영 : 지도교수와 함께 대상지 현황 분석 및 아이디어 도출, 공간구상 및 기본계획 등의 과정을 거쳐 도시재생 계획 수립
특강 :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분야 전문가 강의 진행
※ 교육은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축소 또는 비대면 전환하여 운영될 수 있습니다.
입학식 | |
---|---|
STEP 1 | 목표정하기 : 주제인식 공유, 개별 인지도 작성 현장답사 : 우리 지역 이해하고 공감하기 토론 : 현장답사 시사점 및 소감 나누기 중간발표 준비 : 대상지 현황 및 중간조사 내용 발표준비 |
중간발표회 | |
STEP 2 |
방향 설정 : 도시재생 방향 설정 및 아이디어 확장 계획 구체화 : 아이디어를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 구체화 특강 : 스튜디오 맞춤형 도시재생 강의 최종발표 준비 : 도시재생 사업계획(안) 발표준비 |
최종발표회 |
운영실적 : 제1회(2009)부터 제14회(2022)까지 89개팀, 888명 참여, 737명 수료
구분 | 계 | 2009 (1회) |
2010 (2회) |
2011 (3회) |
2012 (4회) |
2013 (5회) |
2014 (6회) |
2015 (7회) |
2016 (8회) |
2017 (9회) |
2018 (10회) |
2019 (11회) |
2020 (12회) |
2021 (13회) |
2022 (14회)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참여팀(개) | 89 | 6 | 5 | 7 | 7 | 7 | 8 | 9 | 8 | 8 | 7 | 7 | 2 | 3 | 5 |
참여인원(명) | 888 | 89 | 37 | 49 | 64 | 58 | 77 | 81 | 92 | 100 | 81 | 83 | 23 | 22 | 32 |
수료인원(명) | 737 | 61 | 35 | 38 | 56 | 51 | 69 | 68 | 75 | 81 | 69 | 71 | 18 | 18 | 27 |
*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대학을 대구의 여건에 맞게 적용한 지역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제3회(2011)부터 주민참여 도시학교로 명칭을 변경하고, 제7회(2015)부터 대구광역시
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가 운영
* 2020-2021년 코로나19 확산방지 위한 축소 운영
추진성과 : 국가 공모사업 31건 선정, 국비 1,920억원 확보 (도시재생 뉴딜사업,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 등)
대구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활성화지원팀 (053-770-0585/0587)
교육내용 : 도시재생 기초 이론, 주민참여 도시재생, 도시재생 관련 교양(인문학)강좌, 대구의 문화·역사, 정비사업 및 부동산 관련 기초지식 등
교육방법 : 비대면 방식(온라인) 강의 운영
운영일정 : (상반기) 제26기
교육내용 : 도시재생·정비 관련 분야별 상세내용 강의 등
교육방법 : 제한적 소규모 대면강의(※코로나19 대응 현황에 따라 비대면으로 전환될 수 있음)
운영일정 : (하반기) 제12기
교육내용 : 도시재생·정비 관련 분야별 상세내용 강의 등
교육방법 : 제한적 소규모 대면강의
교육내용 : 도시인문학, 특색있는 동네 만들기, 도시재생 주민참여 사례, 지속가능한 도시재생, 기타
기간 및 장소 : 수요에 따라 수시 운영
12년 동안 4개과정 9,572명 참여
(단위 : 명)
구분 | 계 | 2011 | 2012 | 2013 | 2014 | 2015 | 2016 | 2017 | 2018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계 | 9,572 | 344 | 404 | 650 | 1,002 | 676 | 719 | 1,281 | 1,069 | 1,257 | 503 | 802 | 865 |
기본과정 | 7,455 | 344 | 404 | 650 | 1,002 | 676 | 719 | 758 | 656 | 683 | 295 | 600 | 668 |
심화과정 (재생/정비과정) | 1,670 | - | - | - | - | - | - | 523 | 413 | 436 | 60 | 120 | 118 |
마을관리협동조합 교육 | 137 | - | - | - | - | - | - | - | - | - | 37 | 60 | 40 |
찾아가는 도시재생 아카데미 | 310 | - | - | - | - | - | - | - | - | 138 | 111 | 22 | 39 |
대구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활성화지원팀 (053-770-0585/0587)
운영기간 : 연 1회, 학기 중 스튜디오 수업 진행
참가대상 : 대구시 및 인근지역 대학의 도시재생 관련 전공* 스튜디오별 팀을 구성하여 참가
* 도시(교통), 건축, 실내디자인, 가족주거, 조경, 경제, 경영, 관광 등
주요내용 : 대구시 제안 주제 또는 대상지에 대해 도시재생 아이디어 발전을 위한 스튜디오별 수업 진행 및 시상
시상규모 : 대상, 최우수, 우수, 가작 30개 내외 팀 시상 (대구광역시장상)
운영실적 : 2017-2022년 365개팀 938명 참여
구분 | 계 | 2017(상) | 2017(하) | 2018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참여팀(개) | 365개팀 | 42개팀 | 93개팀 | 50개팀 | 40개팀 | 60개팀 | 40개팀 | 40개팀 |
참여학생(명) | 938명 | 88명 | 180명 | 114명 | 127명 | 168명 | 130명 | 131명 |
비고 | - | - | 5개대학(9개학과), 16개스튜디오 |
4개대학(6개학과), 12개 스튜디오 |
5개대학(7개학과), 11개 스튜디오 |
5개대학(7개학과), 14개스튜디오 |
4개대학(4개학과) 9개 스튜디오 |
4개대학(5개학과) 10개 스튜디오 |
추진성과 : 도시재생 아이디어의 사업화 가능성 제고, 도시재생 준전문가의 육성을 위한 관·학간 협업기반 마련 (대통령직속) 지역발전위원회 「정부 균형발전정책 우수사례」수상 (`17. 11월)
대구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사업지원팀(053-770-0584/0589)
운영목적 : 대학(원)생 및 주민의 도시재생 참여를 통한 관심 제고, 시민의 시각에서 생생하고 참신한 콘텐츠의 공급을 통한 도시재생 홍보
운영기간 : 연중 (매년 초 모집)
모집대상 : 대구에 거주하는 대학(생) 및 사업(예정)대상지 주민
활동내용 : 현장취재 및 기사작성(웹진 ‘달구벌 도시재생 이야기’ 게재), 기사작성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가 특강, 도시재생지원센터 교육·답사·봉사 등 활동 참여, 우수기자 시상 등
운영실적 : 2015년~2023년 9년 간 251명의 시민 참여(대학(원)생 198명, 주민 53명)
구분 | 계 | 2015년 | 2016년 | 2017년 | 2018년 | 2019년 | 2020년 | 2021년 | 2022년 | 2023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대학생기자(명) | 168 | 11 | 24 | 33 (글로벌기자단 8명 포함) |
18 (글로벌기자단 4명 포함) |
18 | 40 (기획 27명, 영상 13명) |
24 (기획 16명, 영상 8명) |
24 (기획 15명, 영상 9명) |
6 (기획 3명, 영상 3명) |
주민기자(명) | 28 | - | - | - | - | 12 (기획 10명, 영상 2명) |
16 (기획 10명, 영상 6명) |
16 (기획 10명, 영상 6명) |
9 (기획 6명, 영상 3명) |
대구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사업지원팀(053-770-0584/0589)
운영방법 : 대구시 초중고를 대상으로 이론 교육 및 워크숍 형태의 지역의 이해 교육
※ 교육신청 기관(학교) 협의 후 교육일정 및 교육내용 확정
운영기간 : 연중 2~3회 운영
운영규모 : 회차별 3~4개 학급 또는 동아리
교육장소 : 신청 학교 교실 및 학교 주변
스튜디오 구성 : 스튜디오별 청소년 8~10명 내외, 주강사 1명, 보조강사 1명
주요내용 : 청소년 시각으로 바라본 학교주변지역(학교 통학로)의 장단점을 발견하고 개선방향 도출
프로그램 구성
- 이론교육(1교시) : 지역의 이해
- 워크숍(3교시) : 학교 주변 문제인식 및 개선방향 구상
- 프로그램 예시
구분 | 시간 | 교 육 내 용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이론교육 | 1교시(45분) | 우리 동네 알기(지역의 이해) - 지역 알기, 학교주변 인지 조사 |
개별인지도 작성 |
워크숍 | 2교시(45분) | 학교주변 답사 - 팀별 답사경로 및 답사 유의사항 안내 - 팀별로 정해진 구역 답사 |
개인 지도 표시 |
3교시(45분) | 팀 지도 제작 - 개인별 조사한 내용 발표 - 팀 지도 작성(스티커, 포스트잇 등 활용) |
팀 지도 작성,개선(안) 도출 | |
4교시(45분) | 개선방향 구상 및 발표 - 팀별로 선정된 장소의 개선방향 찾아보기 - 팀별 개선 계획(안) 정리 및 발표 |
2022년부터 신청대상 맞춤형 도시재생 청소년 교육 운영, 청소년 423명 참여
구분 | 계 | 2022 상반기 | 2022 하반기 | 2023 상반기 | 2023 하반기 |
---|---|---|---|---|---|
참여인원(명) | 423 | 332 | 24 | 67 | (예정) |
교육대상 및 교육내용 | - | 전교생 이론수업 | 동아리 워크숍 | 동아리 이론수업+워크숍 | (예정) |
대구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활성화지원팀 (053-770-0585/0587)